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31 |
- camera
- libargus api
- ssd 포맷
- vpiimage
- /dev/kmsg
- lineedit
- nvarguscamerasrc
- 봉화 숲속캠핑장
- cpu frequency
- 티스토리챌린지
- meta-tegra
- gstsample
- bash
- server error
- libargus
- gcc7
- yocto
- linux
- boot process
- udpsink
- RDEPENDS
- orin nx
- Jetson
- mkfs.ext4
- vpi
- 오블완
- bitbake
- LAYERS
- l4t
- nvidia
- Today
- Total
목록프로그래밍 (90)
DREAMER
Camera 영상을 Jpeg 파일로 저장 Producer ... #include #include #define SM_NAME "/Test" typedef struct { NvBufferParams params; NvBufferParamsEx paramsEx; } NvBufferParamData; NvBufferParamData *gBufParam; { int shmfd; int SIZE = sizeof(SnapshotManager::NvBufferParamData); printf("SIZE=%d\n", SIZE); shmfd = shm_open(SM_NAME, O_RDWR | O_CREAT, 0777); if (shmfd == -1) { fprintf(stderr, "open error\n"); exit..
원격 Git 레파지토리에 push를 할 경우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한다. $ git push fatal: The current branch master has no upstream branch. To push the current branch and set the remote as upstream, use git push --set-upstream origin master Git remote 원격 서버에 처음 push 할 경우, 원격 레파지토리에 branch가 없어서 나는 에러이다. --set-upstream 옵션을 주어서 push를 하면 된다. $ git push --set-upstream origin master Counting objects: 9845, done. Delta compression ..
dmesg를 새로운 메시지가 쌓일때마다 콘솔창에 바로바로 출력하기 위해서는 -w옵션(follow)을 주면 된다. w 옵션은 새로운 메시지를 기다리고 있다가, 새로운 메시지가 입력되면 출력해준다. $ dmesg -w 하지만, 특정 환경에서는 dmesg -w 입력 시 실행할 수 없는데, 다음과 같이 에러 메시지가 출력된다. $ dmesg -w dmesg: invalid option -- 'w' BusyBox v1.31.1 () multi-call binary. Usage: dmesg [-c] [-n LEVEL] [-s SIZE] 이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. $ watch -n 0.1 "dmesg | tail -n $((LINES-6))"
메모리 레이아웃을 최적화하는 것은 성능에 매우 중요하다. 특히 대량의 데이터가 처리되는 애플리케이션에서는 데이터들이 올바르게 정렬되어 있다면, GPU의 메모리 접근 및 control 시간을 최소화 하므로 프로그램이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동작 할 수 있다. Pich linear memory allocation : 각 행이 컴퓨터 워드 크기의 배수인 메모리 주소에서 시작하도록 보장하여 메모리 접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. Pitch는 컴퓨터 그래픽스와 이미지 처리에서, 비트맵이나 이미지에서 한 행의 픽셀이 차지하는 바이트 수를 의미하는데, 실제 픽셀 데이터와 패딩을 포함한다. 패딩은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올바르게 정렬하기 위해 추가된다. Block Linear memory allocation : 읽기 및 쓰..
gst-launch-1.0 -v filesrc location=output.jpg ! jpegdec ! imagefreeze ! videoconvert ! videoscale ! autovideosink

yocto 환경에서 skia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skia라이브러리를 생성해야 한다. skia 빌드 준비를 하기 위해서는 bazelisk를 설치하여야 한다. 아래 깃헙 링크를 참고하여 Bazelisk를 설치하면된다. https://github.com/bazelbuild/bazelisk#installation 해당 링크에 따르면, Linux 환경에서 설치하기 위해서는 Releases Page에서 바이너리 파일을 다운로드 후에 직접 PATH에 가져다 놓으라고 한다. 1. https://github.com/bazelbuild/bazelisk/releases 에서 bazelisk-linux-amd64 다운로드 Ubuntu 18.04 LTS에서 크로스 컴파일 해야하므로 bazelisk-linux-amd64를 다운로..
yocto 빌드 중 gcc 버전이 맞지 않아 빌드할 수 없는 패키지들이 있다. 해당 패키지를 테스트하기위해 gcc 버전을 낮춰보았다. gcc9 > gcc8은 큰 무리 없이 빌드 후 플래시 까지 된다. gcc8에도 특정 패키지 빌드시에 gcc 버전 에러가 뜬다. gcc7로 한단계 더 낮춰보려 하는 도중, gcc7에서는 다음의 에러가 발생하였다. Loading cache: 100% |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..
systemd의 init 시스템에서 빌드된 욕토 이미지를 사용중이다. sysvinit에서 systemd로 변경하면서 부팅시에 연결된 모니터로 kernel log가 출력된다. 게다가, systemd-networkd-wait-online.service가 네트워크가 연결될 때까지 대기하기 때문에, 바탕화면이 나오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해당 내용이 화면에 출력된다. 2가지 모두를 disable 하기 위해, 부팅 후에 다음과 같이 disable을 하여 현재 모드에서는 두 서비스를 실행하지 않게 한다. $ systemctl disable systemd-networkd.service $ systemctl disable getty@.service 설정 후에 콘솔 로그화면이 나오지 않고, systemd-networ..
virtual/kernel을 빌드하던 중 에러가 발생하였다. bbappend 파일로 커널 드라이버 패치 소스를 추가하여서 발생하였다. Loading cache: 100% |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| Time: 0:00:00 Loaded 1531 entries from dependency cache. Parsing recipes: 100% |##################..